Data analysis, Game, Diary

[데블챌 13일] 게임 개발에 들이는 노력


[데블챌 13일] 게임 개발에 들이는 노력


들어가며,

  • 데이터 블로그 챌린지(데블챌 2기) 13일차입니다.

  • 14일 간 블로그 게시글을 올리면서 글 쓰는 습관을 들여보려 합니다.



`

목차

  • 게임 개발에 들이는 노력




  • 구지연, 게임 UX 리서처가 회사에서 게임 지식을 파밍하는 법 (2탄), 인텔리전스랩스 이야기, 2023
    원문 링크


  • 게임 개발에 들이는 노력

지난 포스팅에 이어 인텔리전스랩스 블로그의 구자연 님의 게시글 ‘게임 UX 리서처가 회사에서 게임 지식을 파밍하는 법 (2탄)’을 읽었습니다.

두 글의 주제를 요약하면 게임회사에서 게임을 어떻게 이해하고 개발에 어떤 노하우를 녹여내는지에 대한 고민이 담긴 글이었는데요.

라이브 UX 분석팀에서 고민한 사항들을 살펴보고 더 고민해볼 수 있는 점을 정리해보려 합니다.



원문에서 겜유디(게임UX디스커션)이라는 프로그램을 매주 진행한다고 합니다.

그 프로그램 공유 내용 중 인상깊은 내용이 있어 정리해보려 합니다.

게임 UX 리서처 직무는 어떤 일을 하고 가치를 만들어 낼까요?



인텔리전스랩스 게임 UX분석팀에서는 유저를 연구한 사항을 통해

게임 개발 시 ‘결정사항’에 방향성을 제시하는 역할을 한다고 이야기합니다.

쌓아 온 리소스로 신규 게임에 어떤 요소가 들어가야하는지, 꼭 필요한 기능을 제시할 수 있습니다.


게임 개발은 마치 예술의 영역과 같아 특정 프로듀서나 담당자만의 작품으로 생각할 수 있지만,

게임 UX 리서처 직무의 유저 경험 분석,

또는 게임 데이터 분석가의 유저 행동 분석과 같은 다양한 시선으로 게임 개발을 진행한다는 것을 느낄 수 있습니다.
(사실 게임 개발에 참여하는 사람도 그 유저 중 한명이므로 가볍게 볼 수 없는 과정입니다.)

지난 게시글에 이어 게임회사 게임 UX 리서처 업무를 살펴보며,

게임 개발에 들이는 노력을 돌아보는 글을 써봤습니다.


게임 UX 리서처 직무가 아니더라도 유저로서 더 고민해볼 사항은 많습니다.

예를 들면 여러분은 어떤 게임을 좋아하시나요?


한번에 게임 가격을 지불하고 온전히 게임을 즐길 수 있는 ‘패키지 게임’,

게임은 무료지만 부분적으로 과금이 필요한 ‘부분 유료화 게임’도 있습니다.


두 게임을 접하는 유저의 경험은 다르기 때문에 게임 구성도 달라집니다. 게임 UX 리서처의 분석이 꼭 필요하겠죠.

차후 포스팅에는 게임 형태와 과금형태에 따른 특징을 정리해보려 합니다.


[요약]

게임 개발은 유저 경험 분석, 유저 행동 분석 등 다양한 시선의 분석을 담아 진행됩니다.


[한줄 인사이트]

게임 유저는 모를 수 있지만 유저를 위한 고민을 하는 조직이 있어 날이 갈수록 좀 더 재밌고 쾌적한 게임을 즐길 수 있습니다.


Reference

  • 구지연, 게임 UX 리서처가 회사에서 게임 지식을 파밍하는 법 (2탄), 인텔리전스랩스 이야기, 2023
    원문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