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ta analysis, Game, Diary

[데블챌 3일] 모든 것을 뚫는 어뷰저 vs 절대 뚫리지 않는 게임사


[데블챌 3일] 모든 것을 뚫는 어뷰저 vs 절대 뚫리지 않는 게임사”


들어가며,

  • 데이터 블로그 챌린지(데블챌 2기) 3일차입니다.

  • 14일 간 블로그 게시글을 올리면서 글 쓰는 습관을 들여보려 합니다.



목차

  • 게임 데이터 분석?

  • 절대 뚫리지 않는 방패를 만드는 곳




게임 데이터 분석?

게임 데이터 분석은 무엇이 다르기에 앞에 ‘게임’을 붙여 구분할까요?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게임의 실제 사회와 유사한 특수성이 차이를 만들기 때문입니다.


게임마다 다르겠지만 이용자는 게임 안에서 자유롭게 행동, 경제 활동, 사회 활동을 즐깁니다. 그러다 보면 실제 사회에서 발생하는 부정적인 행동도 나타나게 됩니다.

다양한 게임 데이터 분석 분야 중 ‘이상탐지’에 대해 소개한 글을 읽어봤습니다.


절대 뚫리지 않는 방패를 만드는 곳

넥슨 인텔리전스랩스 탐지솔루션실 소개 페이지
페이지 링크



넥슨의 탐지솔루션실은 이상 상황을 탐지하고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솔루션을 만드는 곳이라고 합니다. 보통 ‘어뷰징’이라 부르는 게임에서의 ‘이상 상황’은 아래와 같은 상황이겠죠.

  • [버그 탐지] 게임이 예상대로 작동하지 않는 ‘버그’가 발생함
  • [핵 탐지] 게임을 해킹하여 비정상적인 플레이를 함
  • [작업장 탐지] 자동 프로그램으로 규정에 맞지 않는 많은 게임 머니를 얻어감

이러한 행위는 게임 내 질서를 해치고 장기적으로 서비스를 유지하기 어렵게 만듭니다.


“이용자 80% 급감”…중국 ‘핵 프로그램’에 몸살 앓는 K-게임
페이지 링크

그러한 상황을 막기 위해 이상 상황을 빠르게 탐지하고 조치를 위할 수 있게 솔루션을 연구하는 부서가 필요하겠죠.

또한 탐지솔루션실의 분석가가 하는 두 가지 연구 방향을 소개했습니다.

  • 이상 징후 탐지 시계열 모델, 지표 개발
    • 게임은 출시 이후 24시간 내내 라이브로 서비스 되므로 시계열 이상탐지가 필요합니다. 매일 발생하는 수많은 주제의 시계열에서 발생하는 이상치를 해석하고 검증하는 일을 한다고 합니다. 유저의 경제 활동, 사회 활동 등 다양한 주제가 있겠네요.


  • 어뷰징 탐지 모델 개발
    • 어뷰저를 잡으려면 어뷰저 보다 어뷰저를 더 잘 알아야 합니다. 그들도 모르는 패턴과 특징을 잡아야 하기 때문이죠. 그렇기에 어뷰저를 판별할 수 있는 피쳐를 탐색하고 적합한 로직을 만드는 일을 한다고 합니다.



요약: 게임 이상탐지 직무는 데이터를 기반으로 게임 내 이상 상황을 빠르고 정확하게 탐지하여 조치를 취하고 게임 이용자가 쾌적한 환경에서 플레이할 수 있게 만드는 일을 합니다.

인사이트: 최근 출시되는 게임의 성공 요인 중 하나는 빠른 이상탐지라고 생각합니다. 게임 이상탐지가 고도화 될수록 수익성이 높아지는 셈인데요. 게임이 존재하는 한 어뷰저는 사라지지 않으므로 게임 이상탐지의 기술은 늘 새로운 문제와 대응으로 발전하고 있을 것입니다.




Reference